size_t의 경우 일반적으로 까보면 이런 식으로 선언되어있다,
typedef unsigned int size_t
즉 unsigned int 를 size_t로 하는거다.
malloc()함수의 경우
형식은
(반환형)malloc(크기)
라고 하는데
처음 배울 때
(void*)malloc(size_t size)라 한다.
실제 써먹을 경우
(void*)malloc(sizeof(자료형));
이런식으로도 표현하고 내가지금 공부하는 리스트의 경우 반환형이(동적으로 쌓이는 자료가)node형 이므로
(node*)malloc(sizeof(node));
-> node형을 반환하고 그 크기는 내가 정해 놓은 node의 크기만큼으로 하겠다 라고 이해하고 있다.
'내맘대로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ypedef, unsigned int (0) | 2017.01.08 |
---|---|
이 항목은 철저히 작성자의 편의를 위해 만든 항목입니다. (0) | 2017.01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