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ize_t의 경우 일반적으로 까보면 이런 식으로 선언되어있다,


typedef unsigned int size_t


즉 unsigned int 를 size_t로 하는거다.


malloc()함수의 경우


형식은


(반환형)malloc(크기)

라고 하는데


처음 배울 때

(void*)malloc(size_t size)라 한다.


실제 써먹을 경우

(void*)malloc(sizeof(자료형));

이런식으로도 표현하고 내가지금 공부하는 리스트의 경우 반환형이(동적으로 쌓이는 자료가)node형 이므로


(node*)malloc(sizeof(node));


-> node형을 반환하고 그 크기는 내가 정해 놓은 node의 크기만큼으로 하겠다 라고 이해하고 있다.


+ Recent posts